역사와 야사에서도 이름이 사라진 채홍사라니.. 그게 말이 되는가? 정치인들이 떡밥을 물은 것 같다. 채홍사에 대한 이해를 간략하게 돕자면, 영화 간신에서 기녀를 모집하던 관원을 생각하면 된다. 고 박원순 前시장의 시시비비는 따져봐야겠지만 추측성 뇌피셜이 스물스물 기어오르는것을 보니 올 하반기도 본류보단 아류에 시끄러울 듯 하다. 

 

채홍사(採紅使)는 1504년의 갑자사화 이후 연산군이 미녀를 뽑기 위해 전국에 파견한 임시 관원이다. 『연산군일기』에는 미녀와 함께 좋은 말을 징발하려는 목적의 채홍준사(採紅駿使)라는 명칭이 좀 더 많이 나온다. 채홍사는 연산군 때 이후에는 『조선왕조실록』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보아 연산군의 폭정과 황음(荒淫)이 극도로 치달은 1504~1506년에 한정되어 운영된 이례적이고 비정상적인 관직이었다.

채홍사는 이런 수많은 기녀를 충당하기 위해 전국으로 파견된 임시 관원이었다. 채홍사 이외에도 수시로 채청여사(採靑女使), 채홍준체찰사(採紅駿體察使), 채홍준순찰사(採紅駿巡察使), 채홍준종사관(採紅駿從事官) 등이 파견되어 여색과 준마를 징발하였다. 채홍사 등은 왕의 엽색(獵色) 행각을 만족시키기 위한 이례적 관직이었기 때문에 특별한 조직이 만들어지지는 않았다.

그러나 채홍사 이계동(李季同)·임숭재(任崇載)·임사홍(任士洪) 등이 평안도·황해도 등에 파견된 기록이 보인다. 이들의 관직을 보면 임사홍과 임숭재는 부자인데 종1품 이조 판서와 정1품 부마이고, 이계동은 정1품 영중추부사인데, 그 모두는 연산군의 총신이다. 또 채홍준체찰사 등에 보이는 체찰사·순찰사는 정1~종2품관이 외방사신으로 출사할 때 제수된 관직이고, 종사관은 당하관 이하가 제수되어 체찰사 등과 같이 파견되어 그에 부여된 실무를 총괄하는 관직이다. 이로 볼 때 채홍사 등에는 연산군의 총애를 받는 정1~종2품관과 그를 보좌하는 당하관 이하인 종사관이 함께 파견된 것으로 보인다.

채홍사는 갑자사화 이후 파견되기 시작해 연산군이 폐위된 뒤에는 기록에서 나오지 않는다. 따라서 연산군의 폐출과 함께 사라진 것으로 보인다.

+ Recent posts